배드민턴 규칙 : 서브에러 Service Court Errors (서비스 코트 에러) - 서비스코트 에러는 선수가 아래의 경우를 위반시 적용된다. - 서비스와 리시브의 순서가 잘못 된 경우 또는 - 서비스와 리시브를 잘못된 서비스 코트에서 하는 경우 - 만약 서비스코트 에러가 발생한 상황에서 정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
: Fault (포올트) - 만약 서비스가 바르지 못한 경우 (규정 9. 1) - 만약 서비스를 하는 중 셔틀이 다음과 같을 때 : 네트위에 걸려서 그 자세로 멈춰 있는 경우 : 네트위로 넘어갈때, 네트에 걸리는 경우, 혹은 리시버의 파트너가 셔틀에 맞았을 경우 - 렐리중에 셔틀이 다음과 같을 때 : 코트의 경계선 밖으로 셔틀이 떨어지는 경우 : 셔틀이 네트를 통과하거나, 네트 아래로 통과할 때 : 네트를 넘어가지 않은 경우 : 천장과 옆의 벽에 닿았을 경우 : 사람(선수)나 선수의 옷에 접촉 했을 때 : 코트 바깥부분의 물건들이나 사람에 접촉한 경우 ※ 만약 빌딩의 구조로 인해서 그 지역 배드민턴협회에서 그 나라 협회에 요청을 필요로 하면, 그 나라 협회의 권한으로 셔틀이 방해되어 접촉하는 경우에 대해 규칙을 따라 처리할 수 있다. : 라켓에 걸려서 멈추어져 있는데 스트록을 하는 그 상태에서 내던지는 경우 : 선수로 인해서 셔틀을 두번 친 경우, 그러나 한번의 스트록에서 라켓의 헤드와 : 선수가치고 바로 그 선수의 파트너가 연속적으로 셔틀을 칠 때 : 선수의 라켓에 맞았는데도 상대방 코트로 안 넘어가는 경우
- 렐리중에 선수가 다음과 같을 때 : 네트나 네트를 보조해 주는 용구나, 사람, 그리고 옷에 접촉한 경우 : 네트위 상대방 코트로 라켓이나 선수가 넘어가는 경우 하지만 공격자의 코트에서 : 네트 아래로 라켓이나 사람이 넘어가서 상대선수를 방해하거나 당혹시키는 경우 : 상대선수를 방해, 다시 말하면 네트를 넘어가고 있는 상대의 정당한 스트록을 : 선수가 의도적으로 고함을 지르거나 불필요한 몸짓으로 상대선수를 당혹하게 할 때 : 선수가 지속적으로 규정 16을 어기는 경우.
<저작권자 ⓒ 민턴데일리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![]()
관련기사목록
|